nurseinprogress 님의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

EVD 삽입 vs 제거 타이밍 비교 EVD(외부 뇌실 배액관)는 뇌압 조절을 위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EVD를 언제 삽입해야 하고, 언제 제거해야 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모호할 때가 많습니다. 본 글에서는 삽입과 제거 타이밍을 임상 지침과 사례를 바탕으로 비교하여 설명하며, 간호사와 의료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정리합니다.EVD 삽입 시기: 언제 필요할까?EVD 삽입은 주로 급성 뇌압 상승을 동반하는 환자에서 시행됩니다. 대표적인 적응증으로는 뇌출혈, 외상성 뇌손상, 급성 수두증, 감염성 수막염으로 인한 뇌압 상승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흔한 케이스는 거미막하출혈(SAH)이나 뇌실내 출혈(IVH)입니다. 삽입 타이밍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CT나 MRI.. 2025. 7. 15.
EVD 배액 안 나올 때 점검 포인트, 연결부 확인, 내부 폐색 의심 EVD(외부 뇌실 배액관)를 관리하다 보면 가장 흔하게 마주치는 상황 중 하나가 "배액이 잘 안 나올 때"입니다. 이런 상황은 신규 간호사뿐 아니라 숙련된 간호사에게도 당황스러울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배액이 되지 않을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점검 포인트를 중심으로, 간호사의 역할과 안전한 관리 방법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세팅 위치와 환자 자세 점검EVD에서 배액이 되지 않는 가장 흔한 원인은 장비 자체의 문제보다는 세팅 위치와 환자의 자세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VD는 외이(external auditory meatus)와 같은 높이에 맞춰 설정되며, 이는 Foramen of Monro(뇌실 배액 기준점)와 일치하는 높이입니다. 이 높이를 기준으.. 2025. 7. 15.
L-tube Feeding 중 네뷸라이저 병행, 가능한 이유와 조건 L-tube(위관영양관)을 통해 영양 공급 중인 환자에게 네뷸라이저(흡입치료)를 동시에 시행해도 괜찮을까? 병원 현장이나 간호 실습 중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가지 치료가 병행 가능한 이유와 함께 반드시 알아야 할 조건 및 주의사항을 정리해 드립니다.L-tube와 네뷸라이저 병행의 원리L-tube는 주로 구강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삽입되며, 위장으로 직접 액체 형태의 영양을 전달합니다. 반면, 네뷸라이저는 약물을 미세 입자로 바꾸어 기도를 통해 폐로 직접 약물을 흡입시키는 치료기구입니다. 두 시술은 각각 위장관계와 호흡기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부학적으로는 전혀 다른 경로를 사용합니다. 이 때문에 두 처치를 병행한다고 해서 직접적인 간섭이 일어.. 2025. 7. 14.
신규간호사를 위한 EVD 가이드, 적응증, 배액여부, 제거 기준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외부 뇌실 배액관)는 중환자실이나 신경외과 병동에서 자주 다루게 되는 장비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신규 간호사에게는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EVD의 기본적인 적응증, 배액이 잘 안 될 때의 대처법, 제거 기준에 대해 상세히 안내합니다. 임상에서 실수를 줄이고 자신 있게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EVD 적응증 이해하기EVD는 뇌실 내 고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삽입되는 의료기기입니다. 일반적인 적응증으로는 뇌출혈, 수두증, 두부외상 등이 있습니다. 특히 뇌출혈 환자에서 혈액이 뇌실 내로 퍼졌을 경우 뇌압 상승이 발생하며, 이때 뇌실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액함으로써 뇌압을 조.. 2025. 7. 14.
부종 혈액검사 총정리 (단백질, 전해질, 기능) 부종은 단순히 체중 증가나 다리 붓기로만 볼 수 없는 신체 이상 신호입니다. 특히 반복되거나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부종은 내과적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며, 이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선 혈액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부종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혈액검사 수치인 단백질, 전해질, 그리고 장기 기능과의 연관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단백질 수치와 부종의 관계혈장 내 단백질, 특히 알부민(Albumin) 수치는 부종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액 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수치가 낮아지면 혈액 내 수분이 혈관 밖 조직으로 빠져나가 부종이 생깁니다. 저알부민혈증은 간 질환, 영양실조, 신증후군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며, 특히 혈청 알부민 수치가 3.5g/dL 이하일 경우.. 2025. 7. 13.
간호사를 위한 전신부종 관찰 가이드, 사정, I/O, 주의사항 전신부종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관찰되는 중요한 신체 징후 중 하나입니다. 특히 I/O(수분 섭취 및 배설량) 수치가 음성임에도 불구하고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 임상적 의심과 정확한 사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호사들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전신부종을 어떻게 사정하고 기록해야 하는지, I/O와 부종 간 불일치 상황의 원인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안내드립니다.전신부종의 사정 포인트전신부종은 단순한 체액 증가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병리적 변화나 약물 반응, 장기 기능 저하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부종을 사정할 때는 시각적 관찰 외에도 촉진, 측정, 피부 상태 확인 등 다각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누르면 자국이 남는 함몰성 부종(pitting ed.. 2025. 7. 13.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