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를 위한 척수액 분석 요약 노트(당 측정, 정상 수치, 간호 요약)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호사를 위한 척수액 분석 요약 노트(당 측정, 정상 수치, 간호 요약)

by nurseinprogress 2025. 7. 11.

척수액(뇌척수액, CSF) 검사는 신경계 질환을 진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간호사들은 검사 전후 환자 상태 관찰, 체위 유지, 검사 후 합병증 관리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CSF의 구성 요소와 정상 수치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본 글에서는 간호사들이 알아야 할 척수액 분석 항목 중 '당 수치'의 측정 이유와 정상 기준에 대해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CSF 당 수치 측정 이유

척수액 내 당 수치(Glucose)는 중추신경계 감염이나 질환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척수액의 당 수치는 혈당의 약 60~70% 수준입니다. 만약 척수액 내 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낮다면 이는 세균성 뇌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진균 감염 등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합니다. 그 이유는 감염성 병원체들이 척수액 내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원균이 많을수록 CSF 내 포도당 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간호사로서 환자의 척수액 검사 결과를 보고할 때, 당 수치의 감소 여부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혈당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비율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검사 전 환자의 금식 여부나 당뇨병 등 기저질환도 척수액 당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고려하는 통합적 시각도 필요합니다. 검사 전 혈당 측정을 반드시 병행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간호사가 알아야 할 CSF 정상 수치

간호사가 꼭 외워야 할 척수액의 정상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Glucose): 50~80 mg/dL (혹은 혈당의 60~70%)
- 단백(Protein): 15~45 mg/dL
- 백혈구(WBC): 0~5개/mm³ (대부분 림프구)
- 압력(Open Pressure): 90~180 mmH₂O 척수액 당 수치가 40 mg/dL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감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세균성 수막염은 특히 당 수치가 극단적으로 낮고 단백질은 높으며, 백혈구 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주로 다형핵 백혈구 증가). 반면, 바이러스성 수막염은 당 수치가 정상이고, 림프구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간호사는 검사 결과지를 해석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갖춰야 하며, 비정상 수치 발견 시 즉각적으로 의사에게 보고하고 적절한 감시를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CSF 압력 수치도 중요한데, 뇌압 증가로 인해 두통, 구토, 시야 흐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환자 상태를 세심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검사 전후 간호 포인트 요약

척수액 검사는 일반적으로 요추천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검사 전후 간호는 매우 중요합니다.

검사 전 간호:
- 검사 설명 및 동의서 작성 보조
- 금식 여부 확인 및 혈당 측정 병행
- 감염 예방을 위한 피부 소독 준비
- 검사 체위 유지 지도 (대개 측와위)

 

검사 중 간호:
- 체위 유지 도와주기 (움직이지 않게 주의)
- 무균 상태 유지 보조
- 환자 불안 완화를 위한 말 걸기

 

검사 후 간호:
- 최소 4시간 이상 침상 안정을 유지하도록 지도
- 뇌척수액 누출로 인한 두통, 어지러움 관찰
- 수분 섭취 권장
- 천자 부위 출혈, 감염 여부 확인

 

간호사들은 단순히 검사 보조자 역할을 넘어서, 환자의 안전과 빠른 회복을 위해 검사 전후 모든 과정을 꼼꼼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척수액 검사 후 나타날 수 있는 'Post-LP Headache'를 예방하고,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즉각 보고하여야 합니다.

척수액 분석은 신경계 질환을 진단하는 데 필수적이며, 간호사는 이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당 수치의 변화는 중대한 감염 질환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로서 수치 해석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글을 통해 기본 수치와 간호 포인트를 정확히 익히고, 현장에서 적극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