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도 예외 없다! 혈당 정상수치 확인 (젊은 당뇨, 식단, 예방법)
“20~30대가 무슨 당뇨야?” 아직도 이렇게 생각하시나요? 하지만 요즘 젊은 세대에서 당뇨병 또는 전당뇨(당뇨 전 단계) 진단을 받는 비율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실제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39세 당뇨병 환자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 중 상당수가 본인이 당뇨 상태인 줄도 모르고 지내고 있습니다.특히 MZ세대의 경우, 잦은 외식, 불규칙한 식사, 스트레스, 운동 부족, 야근과 수면 부족 등 당뇨병을 유발하는 요인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생활습관병’으로서의 위험도가 매우 높습니다.1. 젊은 당뇨가 증가하는 이유젊은 층에서 당뇨병이 증가하는 주된 원인은 바로 생활습관의 변화입니다. 과거에는 중년 이후 유전과 고지방식이 주요 원인이었다면, 지금은 다음과 같은 요인이 크게 작..
2025. 7. 6.
TPN 환자, 혈당은 몇이 정상? (간호, 내과, 포인트)
“TPN 중인데 혈당이 너무 높아요, 어떻게 해야 하죠?” 입원 환자의 정맥영양요법(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시행 시 혈당 모니터링은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관리 항목입니다. 특히 당뇨병이 없는 환자라도 고혈당이 발생할 수 있어, BST(Blood Sugar Test) 수치는 반드시 정해진 범위 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TPN 환자의 정상 혈당 범위, 간호 체크 포인트, 그리고 의뢰 기준까지 실제 임상에서 유용한 정보를 정리했습니다.1. TPN 환자, 왜 혈당이 높아지나?TPN은 정맥으로 영양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탄수화물(주로 포도당), 단백질, 지방, 전해질, 비타민 등을 포함합니다. 이 중 포도당 농도는 하루 150~300g 이상 공급되는 경우가 많아, 대..
2025. 7. 6.
의대생을 위한 중심정맥관 이해 (해부학, 적응증, 리스크)
임상 실습을 앞두고 있거나 기본 술기 교육을 시작하는 의대생에게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가장 흔하면서도 꼭 알아야 할 기본 처치 중 하나입니다. 중심정맥관은 단순한 정맥 확보를 넘어, 약물 주입, 혈류 측정, 정맥영양 등 중환자 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CVC는 해부학적 구조와 시술 기법, 합병증까지 정확히 이해하고 접근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의대생의 입장에서 중심정맥관의 해부학, 삽입 적응증, 리스크에 대해 정리합니다.해부학: 중심정맥관 삽입 경로의 구조적 이해중심정맥관은 말 그대로 ‘중심부의 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대표적인 삽입 부위는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 쇄골하정맥(subclavi..
2025. 7. 5.